AI교육(37)
-
경기도미래기술학교 AI개발자 부트캠프 26일차 TIL- 파이썬으로 통계학 기초 배우기.
# x = int(input()) # y = int(input()) # # if(x>0 and y>0): # print(1) # elif(x0): # print(2) # elif(x
2023.06.14 -
경기도미래기술학교 AI개발자 부트캠프 25일차 TIL- 입사지원 포트폴리오와 면접에 관하여.
오늘은 입사지원 기본적인 것과 컨설팅에 대해서 배웠다. 우선 자소서를 잘 써야 한다. 내 장점에 대해 잘 알아야 하기 때문에.. 첫날은 내 성격(장점/단점)을 썼다. 그리고 다음날은 AI면접에 대해서 배웠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솔직하게 이야기 해야 한다. 지금의 AI는 스크립트가 있다고 한다. 처음에 말했던 내용과 나중에 말했던 내용에 모순이 있으면 안되기 때문이다. 1분 자기소개서를 작성했다. 또 뭔가 곤란한 질문 케이스를 많이 말해주셨다. 나에게 맞다고 생각하는 색깔은? 맡았던 것 중 가장 흥미로웠던 프로젝트는 무엇이었는가. 직무질문. 빅데이터와 스몰데이터의 차이점이란? Strping MVC의 흐름은 무엇일까. 외국어는 할거면 오픽이나 토익스피킹이나 토익 중에 하나를 하자.
2023.06.13 -
경기도미래기술학교 AI개발자 부트캠프 23일차 TIL- 통계학 복습 계속.
? 분산과 표준편차는 왜 다를까. 분산은 평균으로부터 각 요소들이 얼마나 떨어져있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대신 각 요소를 제곱했기 떄문에 데이터의 원 스케일 값은 아니다. 표준편차는 각 데이터마다 평균적으로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표준편차는 분산의 제곱근이다. 따라서 제곱한 분산의 값을 다시 원래대로 한 것이기 때문에 그 값으로 원래의 데이터 단위로 파악할 수 있다. t-test의 설명. 1. t-test에서 어떤 두 집단 사이의 평균 차이가 5kg 정도 난다고 치자. 2. 만약 이 5kg이 표준편차보다 작다면 5kg 차이에 큰 의미를 둘 수가 없다 라는 뜻이다. 따라서 이 차이가 우연히 발생했다 라는 결론이 생기는 것이다. 3. 하지만 5kg가 표준편차보다 크면 클 수록 큰. 그러면 이 ..
2023.06.11 -
경기도미래기술학교 AI개발자 부트캠프 22일차 TIL- 미니 프로젝트(1) - 주제 정하기: 인구감소. 가설 정하고 데이터 구하기.
오늘은 공부시간이 별로 안되어서 조금만 씀. 미니 프로젝트 주간이다. 나는 인구감소에 대한 원인들을 모으고 그 원인들이 상관관계가 어떻게 되어있는지 분석해보기로 했다. 시작하기 전에 목표를 가지고 가자. 목표를 먼저 적어야 나중에 덜 헤맬 것 같다. 내 목표. 1. pandas와 matplotlib을 전보다 더 숙련되게 사용하는 것. 앞으로도 많이 사용할 것들이기 때문이다. 2. 나만의 결론을 도출하기. 대신 너무 깊게 가지 말기. 우선 출산율 감소에 대한 대표적인 원인들을 분석해보고 내가 생각하는 추론을 세운 뒤, 대한민국은 어떻게 발전해야 하는지 나만의 결론을 꺼내보자. 우선! 시작이 반이다. 코랩 파일을 만들고 수업시간에 배웠던 한글깨짐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 colab에서 한글폰트 사용하기 # ..
2023.06.09 -
경기도미래기술학교 AI개발자 부트캠프 18일차 TIL- 기상정보를 활용한 공공자전거 수요분석
기초도 잘 모르겠고... 해서 오늘은 한 번 샅샅이 파보자. from glob import glob file_names = glob("/content/drive/MyDrive/Colab Notebooks/인공지능 개발자 과정/탐색적데이터분석/따릉이데이터/*.csv") file_names glob은 파이썬 내장모듈이다. 파일 경로명을 사용해 마일 목록을 검색한다. 위의 코드는 from을 썼기 때문에 glob()을 바로 쓸 수 있고 쓰지 않는다면 glob.glob() 이렇게 할 것이다. 그렇게 해서 매개변수에 경로를 넣고 *.csv를 했기 때문에 해당 경로에 있는 csv로 저장된 확장자들을 모두 찾아서 file_names에 list로 넣을 것이다...
2023.06.02 -
경기도미래기술학교 AI개발자 부트캠프 17일차 TIL- WordCloud란 무엇인가? 하는법.
워드 클라우드란 무엇인가? 이거다. 키워드 간 관계는 없으나 빈도 수를 기준으로 단어들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단어의 크기가 클 수록 빈도수가 많다는 의미이다. 자연어 처리나 텍스트 마이닝, SNS 글 분석 등에 주로 사용 된다. 우리는 한국어 자연어 처리를 위해서 KONLPy(코 앤엘 파이)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했다. 설치방법은 따로 배워야 한다. 설치가 끝나면 import konlpy konlpy.__version__ 이 코드로 버전 확인이 가능하다. 문장, 명사, 형태소 추출이다. 꼬꼬마라는 모듈의 sentences,nouns,morphs 메소드이다. wget을 사용해서 텍스트를 다운받고 워드클라우드를 진행했다. WordCloud에 generate()라는 메서드를 사용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한다...
2023.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