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5. 26. 22:57ㆍAI교육/기타 배경지식
나는 석박 출신이 아니다. 2년제 대학을 다녔고 물경력에 이제 막 파이썬을 배우고 여러 라이브러리를 얼기설기 따라하고 있다.
내가 나중에 수료하면 아무튼 나도 취업을 해야 하는데, 과연 우리나라의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어떻고 나는 어떤 것을 알아야 하고 어떤 일을 하고, 준비해야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유튜브에 검색을 해봤다. 그런데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라고 쳐보니

하지마세요!? ㅋㅋㅋㅋㅋ 아니 아직 1달도 안됐는데 하지 말라고? 함정에 빠진 것인가? 안들어갈 수가 없었다. 굉장한 키워드다..
그 중 맨 위에 있는 우리나라 사람이 올린 영상을 봤다.
https://www.youtube.com/watch?v=8mjeJpHtLVQ
우선 썸네일에 좀 마음이 흔들리긴 했는데, 요약하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일이 그렇게 많지 않은 기업이 많으니 백엔드 등의 역량을 키워야 한다는 글이다.
내가 순수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기술만 있다고 가정하면 어떤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특정 정보를 위해 로그를 남겨야 된다고 치자. 그럼 그 때마다 개발자에게 요청을 해야 하는데 얼마나 능률적으로 할 수 있겠는가? 라는 이야기다.
뭔가 어제 자면서 막연하게 했던 상상이 진짜 같은 느낌. 우리가 지금 배우고 있는 분석기법들도 이미 자동화 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있는 모양이다.
아무튼 백엔드 공부도 열심히 하자. 분석 기법에만 치우치면 안되겠다.
할게 많다 참... 지금 일단 새로 배우고 있는 것도 익히기 벅차기도 한데 자격증도 준비해야 하고 입학 준비도 해야 하고 자꾸 뭘 더 배워야 하는 압박도 좀 더해져서 살짝 압도됐다.
내가 할 일 먼저 차근차근 해내고 끝내고 또 새로 배우고 이런 과정을 반복하다보면 좋아지겠지.
'AI교육 > 기타 배경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앱맵 - 유지보수 최적화 플러그인. (0) | 2023.06.05 |
---|---|
엔비디아 회사와 AI, 그리고 삼성,SK 하이닉스의 연관. GPU란? 간단하게 알아보기. (0) | 2023.06.01 |
인공지능 교육을 배울 때 유념해야 할 자세. (0) | 2023.05.25 |
경기도미래기술학교x에이블런 AI개발자 부트캠프 1일차 TIL : 데이터 리터러시 등을 배웠다. 가설을 신중하게 대하는 자세. (0) | 2023.05.08 |
20230424 벡터란? 스칼라,norm, 삼각함수, 내적 뜻. (0) | 2023.04.24 |